2667번: 단지번호붙이기(BOJ C/C++)
사용 언어: C
문제
<그림 1>과 같이 정사각형 모양의 지도가 있다. 1은 집이 있는 곳을, 0은 집이 없는 곳을 나타낸다. 철수는 이 지도를 가지고 연결된 집의 모임인 단지를 정의하고, 단지에 번호를 붙이려 한다. 여기서 연결되었다는 것은 어떤 집이 좌우, 혹은 아래위로 다른 집이 있는 경우를 말한다. 대각선상에 집이 있는 경우는 연결된 것이 아니다. <그림 2>는 <그림 1>을 단지별로 번호를 붙인 것이다. 지도를 입력하여 단지수를 출력하고, 각 단지에 속하는 집의 수를 오름차순으로 정렬하여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 번째 줄에는 지도의 크기 N(정사각형이므로 가로와 세로의 크기는 같으며 5≤N≤25)이 입력되고, 그 다음 N줄에는 각각 N개의 자료(0혹은 1)가 입력된다.
출력
첫 번째 줄에는 총 단지수를 출력하시오. 그리고 각 단지내 집의 수를 오름차순으로 정렬하여 한 줄에 하나씩 출력하시오.
첫 번째 풀이
문제를 한번 읽고 처음에 떠오른 풀이는 그래프를 입력받고 (0,0)에서 (N,N)까지 순차적으로 검사하면서 visited[i][j]==0 && graph==1 인 곳을 발견하면, 그 위치를 visited[i][j]=1로 바꾸고 사방으로 주변에 집 단지가 또 있는지 검사하면서 그 지역 전부를 visited==1로 바꾸면서 단지에 있는 집 수를 세고, 배열에 각 단지의 집 수를 저장하고 정렬해서 프린트하면 답을 구할 수 있다.
#include <stdio.h>
#include <stdlib.h>
#define MAX 26
int graph[MAX][MAX];
int visited[MAX][MAX];
// 단지를 저장할 배열 = 나올 수 있는 단지의 최대 개수 = n * (n/2) + 1
int housecomplex[MAX*(MAX/2)+1];
int vectX[4] = {0,0,1,-1};
int vectY[4] = {1,-1,0,0};
int cnt; //단지의 개수
int length; //한 변의 길이
int compare(const void *a, const void *b) //오름차순 비교
{
int num1 = *(int *)a;
int num2 = *(int *)b;
if(num1 < num2)
return -1;
if(num1 > num2)
return 1;
return 0;
}
void DFS(int x, int y)
{
housecomplex[cnt]++;
int nextX,nextY;
for(int i=0; i<4; i++)
{
nextX = x + vectX[i];
nextY = y + vectY[i];
if(x>=0 && x<length && y>=0 && y<length)
if(visited[nextX][nextY]==0 && graph[nextX][nextY]==1)
{
visited[nextX][nextY]=1;
DFS(nextX, nextY);
}
}
}
void solution()
{
for(int i=0;i<length;i++)
{
for(int j=0;j<length;j++)
{
if(visited[i][j]==0 && graph[i][j]==1)
{
visited[i][j]=1;
DFS(i, j);
cnt++;
}
}
}
}
int main(void)
{
scanf("%d",&length);
for(int i=0;i<length;i++)
for(int j=0;j<length;j++)
scanf("%1d",&graph[i][j]); //그래프 입력받기
solution();
printf("%d\n",cnt);
qsort(housecomplex,cnt, sizeof(int),compare);
for(int i=0;i<cnt;i++)
printf("%d\n",housecomplex[i]);
return 0;
}
두 번째 풀이
두 번째로 떠오른 풀이는 첫 번째 풀이와 비슷하지만 visited 배열을 안 쓰는 것이다. 순차적으로 검사하다가 graph[i][j]==1이면 cnt++ 를 하고 DFS에 cnt+1을 넘겨서 그 지역을 전부 cnt+1로 덮는 것이다. 이러면 각 단지마다 고유의 수(cnt+1)를 가지고 graph[i][j]>1인 곳을 housecomplex[graph[i][j]-2]++ 해버리면 각 단지의 집 수를 구할 수 있다.
#include <stdio.h>
#include <stdlib.h>
#define MAX 26
int graph[MAX][MAX];
// 단지를 저장할 배열 = 나올 수 있는 단지의 최대 개수 = n * (n/2) + 1
int housecomplex[MAX*(MAX/2)+1];
int vectX[4] = {0,0,1,-1};
int vectY[4] = {1,-1,0,0};
int cnt; //단지의 개수
int length; //한 변의 길이
int compare(const void *a, const void *b) //오름차순 비교
{
int num1 = *(int *)a;
int num2 = *(int *)b;
if(num1 < num2)
return -1;
if(num1 > num2)
return 1;
return 0;
}
void DFS(int x, int y, int key)
{
graph[x][y] = key;
int nextX,nextY;
for(int i=0; i<4; i++)
{
nextX = x + vectX[i];
nextY = y + vectY[i];
if(x>=0 && x<length && y>=0 && y<length && graph[nextX][nextY]==1)
DFS(nextX, nextY, key);
}
}
void solution()
{
for(int i=0;i<length;i++)
{
for(int j=0;j<length;j++)
{
if(graph[i][j]==1)
{
cnt++;
DFS(i, j, cnt+1); //cnt+1로 넘기기
}
}
}
for(int i=0;i<length;i++)
{
for(int j=0;j<length;j++)
{
if(graph[i][j]>1)
housecomplex[graph[i][j]-2]++; //각 단지의 단지 수
}
}
}
int main(void)
{
scanf("%d",&length);
for(int i=0;i<length;i++)
for(int j=0;j<length;j++)
scanf("%1d",&graph[i][j]);
solution();
printf("%d\n",cnt);
qsort(housecomplex,cnt, sizeof(int),compare);
for(int i=0;i<cnt;i++)
printf("%d\n",housecomplex[i]);
return 0;
}
'BOJ > 그래프' 카테고리의 다른 글
16236번: 아기 상어 (BOJ C/C++) (0) | 2022.03.04 |
---|---|
2606번: 바이러스 (BOJ C/C++) (0) | 2022.02.19 |
7576번: 토마토 (0) | 2022.01.30 |
2178번: 미로 탐색 (0) | 2022.01.11 |
1260번: DFS와 BFS (0) | 2022.0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