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576번: 토마토(BOJ C/C++)
사용 언어: C
문제
철수의 토마토 농장에서는 토마토를 보관하는 큰 창고를 가지고 있다. 토마토는 아래의 그림과 같이 격자 모양 상자의 칸에 하나씩 넣어서 창고에 보관한다.

창고에 보관되는 토마토들 중에는 잘 익은 것도 있지만, 아직 익지 않은 토마토들도 있을 수 있다. 보관 후 하루가 지나면, 익은 토마토들의 인접한 곳에 있는 익지 않은 토마토들은 익은 토마토의 영향을 받아 익게 된다. 하나의 토마토의 인접한 곳은 왼쪽, 오른쪽, 앞, 뒤 네 방향에 있는 토마토를 의미한다. 대각선 방향에 있는 토마토들에게는 영향을 주지 못하며, 토마토가 혼자 저절로 익는 경우는 없다고 가정한다. 철수는 창고에 보관된 토마토들이 며칠이 지나면 다 익게 되는지, 그 최소 일수를 알고 싶어 한다.
토마토를 창고에 보관하는 격자모양의 상자들의 크기와 익은 토마토들과 익지 않은 토마토들의 정보가 주어졌을 때, 며칠이 지나면 토마토들이 모두 익는지, 그 최소 일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라. 단, 상자의 일부 칸에는 토마토가 들어있지 않을 수도 있다.
입력
첫 줄에는 상자의 크기를 나타내는 두 정수 M,N이 주어진다. M은 상자의 가로 칸의 수, N은 상자의 세로 칸의 수를 나타낸다. 단, 2 ≤ M,N ≤ 1,000 이다. 둘째 줄부터는 하나의 상자에 저장된 토마토들의 정보가 주어진다. 즉,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상자에 담긴 토마토의 정보가 주어진다. 하나의 줄에는 상자 가로줄에 들어있는 토마토의 상태가 M개의 정수로 주어진다. 정수 1은 익은 토마토, 정수 0은 익지 않은 토마토, 정수 -1은 토마토가 들어있지 않은 칸을 나타낸다.
토마토가 하나 이상 있는 경우만 입력으로 주어진다.
출력
여러분은 토마토가 모두 익을 때까지의 최소 날짜를 출력해야 한다. 만약, 저장될 때부터 모든 토마토가 익어있는 상태이면 0을 출력해야 하고, 토마토가 모두 익지는 못하는 상황이면 -1을 출력해야 한다.
첫 번째 풀이
처음 문제를 풀 때 visited[][] 배열을 만들어서 검사한 곳은 visited=1로 바꿔서 검사를 했다고 해서 풀었는데, 생각해보니까 굳이 visited 배열 없이도 그냥 graph 배열로 문제를 풀 수 있어서 두 번째 풀이에서는 visited 배열을 없앴다. 결과적으로 두 번째 풀이가 첫 번째 풀이보다 메모리 사용량도 적고 속도도 더 빠르다.
#include <stdio.h>
#define MAX 1001
#define BIG 1000001
int graph[MAX][MAX];
int visited[MAX][MAX];
int M, N, rear, front, res;
typedef struct Node{
int x;
int y;
}q;
q queue[BIG+1];
int vectX[4] = {0,0,1,-1};
int vectY[4] = {1,-1,0,0};
q dequeue()
{
q temp = queue[front];
front = (front + 1) % BIG;
return temp;
}
void enqueue(int x, int y)
{
q temp;
temp.x = x;
temp.y = y;
queue[rear] = temp;
rear = (rear + 1) % BIG;
}
int BFS()
{
int nextX, nextY;
while(front<rear)
{
q pop=dequeue();
for(int i=0;i<4;i++)
{
nextX = vectX[i] + pop.x;
nextY = vectY[i] + pop.y;
if(nextX>=1 && nextX<=M && nextY>=1 && nextY<=N)
if(graph[nextX][nextY]==0 && !visited[nextX][nextY])
{
visited[nextX][nextY] = visited[pop.x][pop.y]+1;
enqueue(nextX,nextY);
}
}
}
for(int i=1; i<=M; i++)
{
for(int j=1; j<=N; j++)
{
if(visited[i][j]==0)
{
res=-1;
return res;
}
else if(res<visited[i][j])
res=visited[i][j];
}
}
return res-1;
}
int main(void)
{
int isRipe=1;
scanf("%d %d", &N, &M);
for(int i=1; i<=M; i++)
{
for(int j=1; j<=N; j++)
{
scanf("%d", &graph[i][j]);
if(graph[i][j]==1)
{
visited[i][j]=1;
enqueue(i, j);
}
if(graph[i][j]==-1)
visited[i][j]=1;
}
}
for(int i=1; i<=M; i++)
for(int j=1; j<=N; j++)
if(graph[i][j]==0)
isRipe=0;
if(isRipe==1)
printf("0\n");
else
printf("%d\n",BFS());
return 0;
}
두 번째 풀이
#include <stdio.h>
#define MAX 1001
#define BIG 1000001
int graph[MAX][MAX];
int M, N, rear, front, res;
typedef struct Node{
int x;
int y;
}q;
q queue[BIG+1];
int vectX[4] = {0,0,1,-1};
int vectY[4] = {1,-1,0,0};
q dequeue()
{
q temp = queue[front];
front = (front + 1) % BIG;
return temp;
}
void enqueue(int x, int y)
{
q temp;
temp.x = x;
temp.y = y;
queue[rear] = temp;
rear = (rear + 1) % BIG;
}
int BFS()
{
int nextX, nextY;
while(front<rear)
{
q pop=dequeue();
for(int i=0;i<4;i++)
{
nextX = vectX[i] + pop.x;
nextY = vectY[i] + pop.y;
if(nextX>=1 && nextX<=M && nextY>=1 && nextY<=N)
if(graph[nextX][nextY]==0)
{
graph[nextX][nextY] = graph[pop.x][pop.y]+1;
enqueue(nextX,nextY);
}
}
}
for(int i=1; i<=M; i++)
{
for(int j=1; j<=N; j++)
{
if(graph[i][j]==0)
{
res=-1;
return res;
}
else if(res<graph[i][j])
res=graph[i][j];
}
}
return res-1;
}
int main(void)
{
int isRipe=1;
scanf("%d %d", &N, &M);
for(int i=1; i<=M; i++)
{
for(int j=1; j<=N; j++)
{
scanf("%d", &graph[i][j]);
if(graph[i][j]==1)
enqueue(i, j);
}
}
for(int i=1; i<=M; i++)
for(int j=1; j<=N; j++)
if(graph[i][j]==0)
isRipe=0;
if(isRipe==1)
printf("0\n");
else
printf("%d\n",BFS());
return 0;
}
느낀 점
양 쪽 코드를 짜는데 오래 걸리지 않았지만, 다른 부분에서 오래 걸렸다. 예를 들어 6 4 로 입력을 받으면, graph[X][Y]에서 X가 1~4 사이고 Y가 1~6 사이인데, 나는 계속해서 X를 1~6, Y를 1~4 사이로 입력 받아서 원하는 답이 계속 안 나왔다. 사실 X를 1~6, Y를 1~4로 받아도 구현을 저거에 맞게 하면 문제가 없지만 X가 1~4, Y가 1~6로 코드를 짜서 1 시간 넘게 왜 답이 안 나오는지 고민했던.... 기본적인 것(입출력, 범위)도 항상 확인하자.
'BOJ > 그래프' 카테고리의 다른 글
16236번: 아기 상어 (BOJ C/C++) (0) | 2022.03.04 |
---|---|
2606번: 바이러스 (BOJ C/C++) (0) | 2022.02.19 |
2667번: 단지번호붙이기 (0) | 2022.01.15 |
2178번: 미로 탐색 (0) | 2022.01.11 |
1260번: DFS와 BFS (0) | 2022.01.09 |